전쟁 실화 영화 <연평해전> 배경, 감독의도, 감상평
영화 시대적 배경
영화 <연평해전>은 2002년 한창 한국에서의 월드컵 열기가 타오르던 6월 29일 연평도 앞바다에서 벌어진 국지전을 배경으로 제작된 영화이다. 좀 더 정확히 말하자면, 1999년 연평도 앞바다에서 제1연평해전이 발생하였지만, 영화 <연평해전>은 2002년에 발생한 제2연평해전을 배경으로 제작되었다. 1999년 북한은 연평도 지역을 무단으로 넘어와 긴장감을 고조시켰고, 남한은 일을 키우지 않기 위해 사격 대신 배를 충돌시켜 밀어내는 작전으로 북한을 대응하였다. 낡은 배를 이끌고 온 북한은 1999년 6월 15일 갑작스러운 선제사격을 하였고, 이로인해 남한과 북한의 해군은 서로 사격전을 벌였다. 결과는 남한의 승리였다. 3년 뒤인 2002년 6월 29일 오전 10시 즈음, 북한의 경비정과 고속정이 북방한계선(NLL)으로 다가오자, 남한 고속정들은 북한이 남하하지 못하도록 막아서며, 다시 한번 배를 충돌시켜 밀어내는 작전을 진행했다. 하지만, 남한 함정과 가까워지자 북한 함정은 또다시 갑작스러운 선제사격을 가하였고, 이로 인해 실제 참수리 357호가 명중되며 지휘 정장인 윤영하 대위가 전사하고 만다. 참수리 357호에 승선한 남측 병력들은 북한의 지속적인 공격으로 죽어가고 있었는데, 남한의 고속정들이 지원을 하며 전투에 참여했다. 남한의 고속정들이 지원에 나서자, 북한 고속정은 불에 휩싸이게 되었고 이후 북으로 후퇴하였다. 2002년에 발생한 제2연평해전의 결과는 한국 군인 사망자 6명과 부상자 18 총 24명의 사상자가 발생하였다.
제작 의도
2002년 한국이 월드컵 4강 첫 진출을 함으로써, 역사속으로 잊혀진 연평해전을 잊지 말자는 취지로 제작되었다. 이 전투로 인해 누군가의 아들이자 가족이 희생되었어야 했고, 희생당한 사람들과 유가족분들에 대한 생각이 깊어지며 우리가 태어난 나라의 사랑과 관심을 소중히 생각하고 여겨야 한다. 실제 김학순 감독이 영화 <연평해전>을 제작하면서 가장 크게 신경쓴 부분이 최대한 그때 있었던 일을 사실적으로 재현하려고 노력했다. 연평해전이 발발했던 당시를 생생하게 재현하기 위해, 세트, 분장 등 세세한 것들까지 신경쓰며 자세하게 표현하려고 했다.
감상 후
2002년때를 떠올려 보자면, 초등학교 3학년 때이다. 당시 10살에 시골에 살던 나는 4살짜리 동생데리고 학교를 오가며 아무생각 없이 지내던 때이다. 북한군이 무슨 짓을 저질러도 해맑게 웃으며 동생 챙기기에 바쁜 때였다. 성인이 되고 나라에 대한 이런저런 이슈들을 알게 되며, 생각하고 보는 시야가 넓어진 지금 영화를 보는 내내 화가 났다. 당시 2002년 월드컵속에서 TV를 보며 열심히 응원한 기억만 남았다는 사실이 지금은 너무도 죄송한 마음만 있다. 북한은 지금까지도 여러형태의 도발을 감행해 오고 있지만, 많은 희생자들이 발생하는 저런 사건과 같은 것에 남한측은 어떠한 태도를 보여야 할까하는 의문도 생긴다. 군대에서 병장 만기전역을 한 나조차도 시간이 지나면서 무뎌지는 것 같다. 군대를 다녀온 남자들도 시간이 지나면서 잊어가는 역사적 사실인걸 알기에 더욱더 잊지 않도록 노력하고, 나라를 위해 희생하신 분들께 감사한 마음을 가져야겠다는 생각을 한다. 영화속에서의 연출이 너무도 생생하고 사실적으로 표현되었기에 이를 의도한 감독님과 사실적으로 연기해 준 배우분들께 뜨거운 박수를 보낸다.